사례관리 서비스 내용
구분 | 내용 |
---|---|
사례발굴/등록 | 지역 내 사례관리 대상자 발굴 및 외부기관을 통해 연계된 대상자에 대한 등록 실시 |
사례판정회의 | 지역 내 발굴 대상자에 대한 정확한 현황 및 사례개입을 위한 회의를 실시하고 관련 서비스 제공 진행 |
사례 교육/네트워크 | 사례관리 정기 교육 및 사례발표 등을 통해 서비스 접근에 대한 다양한 시각 공유 및 방법 습득 공유, 지역 내 유관기관 협조 및 연계를 통한 사례관리 서비스 강화 |
사례관리 종합상담 | 지역 내 대상자에 대한 지속적인 개입을 통한 현황 파악 및 욕구 해결 지원 |
통합사례관리 지역 전문가 수퍼비전 | 사례관리 외부 전문가의 점검 및 수퍼비전을 통한 사업 효율성 제고 |
사례관리 흐름도
1. 접수 |
· 사례발견 후 접수 · 대상자 방문상담 / 복지관 내방 상담 / 전화상담 실시 |
---|---|
2. 사정 | · 사례판정 회의 실시 |
3. 계획수립 | · 서비스 계획서 작성 (Ct와의 공동목표 수립 및 이용 동의 등 진행) |
4. 실행 | · 서비스계획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및 사례 관리 진행 |
5. 점검 | · 사례관리 대상자에 대한 점검 진행 (필요시) · 차기 사례 판정회의 시 점검사항 논의 |
6. 평가 | · 사례관리 대상자에 대한 평가실시 |
서비스 내용
구분 | 내용 | |
---|---|---|
통합 사례관리 | 위기세대 발굴 및 상담 | · 직접 도움 요청 · 지역주민 의뢰 · 네트워크 기관 및 유관기관을 통한 의뢰 · 욕구 및 문제확인 |
통합사례회의 | · 욕구 및 문제해결을 위한 사례개입계획 논의 및 수퍼비전 · 당사자 주변 자원을 활용한 사례회의 · 네트워크 기관의 자원 지원 논의 |
|
사례관리 | · 욕구 및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적인 개입 · 상담 및 자원연계 |
|
외부전문가 자문 | · 외부 전문가를 통한 자문 실시 · 사례전문가를 통한 사례회의 실시 |
|
권역 내 네트워크 구축 | 민·관, 민·민 네트워크 운영 | · 네트워크 기관 간 사례진행 공유 · 사업진행 현황 공유 · 네트워크 기관 자원 공유 · 네트워크 체계 강화 |
가사 보조 서비스 및 물품 지원서비스
구분 | 내용 |
---|---|
이용대상 | 신체·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가사활동이 어려운 지역주민 |
이용안내 | 연중 (※물품의 경우 상황에 따라 변동 됨) |
이용절차 | 방문 및 전화 접수 → 사회복지사 상담 → 서비스 가능 여부 판단 → 관련서류제출(필요시) → 서비스 제공 → 평가 |
프로그램 | 가사 및 말벗지원(수시), 이불세탁서비스 지원, 이미용 서비스, 생활용품 및 기타 물품 지원 등 |
구분 | 내용 |
---|---|
이용대상 | 지역 내 저소득 맞벌이 가정 및 한부모, 조손, 소년소녀가장 세대 아동 등 |
이용안내 | 매월 1회 지급(10일~15일 이내) |
이용절차 | 어린이재단 의뢰 → 사회복지사 상담 → 후원금 지급 → 평가 |
프로그램 | 아동·청소년과 지정후원자 연결을 통한 후원금 지급 |
구분 | 내용 |
---|---|
이용대상 | 지역 내 저소득 맞벌이 가정 및 한부모, 조손, 소년소녀가장 세대 아동 등 |
이용안내 | 매월 1회 지급(10일~15일 이내) |
이용절차 | 어린이재단 의뢰 → 사회복지사 상담 → 후원금 지급 → 평가 |
프로그램 | 아동·청소년과 지정후원자 연결을 통한 후원금 지급 |